CPU등의 clock으로 사용되는 crystal을 사용 할 때 '25MHz, 30ppm 주세요'라고 샘플을 요청하면
안된다.
나중에 crystal이 발진하지 않아서 보드가 동작 않는 상황이 다반사로 발생 할 수 있다.
Crystal과 해당 IC, 외부 capacitor의 값을 적절이 맞춰서 초기 전원 인가시
crystal이 기동하여 발진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
외부 cap(C1, C2)는 보통 15~30pF의 값을 선정하고 선정된 값에 맞춰서
crystal의 load capacitance값을 결정하고 주문을 해야 한다.
Claod = Ci1*Ci2 / (Ci1+Ci2) + CL + Cline
결론부터 보자면 위와 같다.
Crystal의 capacitance = C1, C2의 합성 capacitance + IC 내부의 capacitance.
단,
Cload = Load Capacitance of Crystal <--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값
CL = IC 내부의 Load Capacitance
Ci1 = X1 Input Capacitance = C1
Ci2 = X2 Input Capacitance = C2
Cline = PCB line의 capacitance 이다.
여기서 Cline은 대략 0~1pF의 값을 가지므로 무시 할 수 있다.
이 공식을 이용하여 crystal 내부의 load capacitance를 구하면 된다.
Crystal의 load capacitance값을 맞추지 않으면 가끔 발진을 않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발진 않는 crystal을
손으로 톡~ 톡~ 건들면 발진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이제 좀 멋있게 샘플을 요청 해 보자.
'25MHz, 30ppm, CL은 20pF으로 100개만 주세요~'
'25MHz, 30ppm, Cload은 20pF으로 100개만 주세요~'
포스트의 부족한 내용이나 아쉬운 부분을 본 페이지에 특화된 google검색을 통해서 알아보세요.
'[HARDWARE] > DEVI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로 보호 소자, TVS DIODE (0) | 2009.09.25 |
---|---|
회로 보호 소자, VARISTOR (0) | 2009.09.25 |
DIODE의 종류별 SYMBOL및 특성 곡선 (0) | 2009.09.25 |
SMD Package의 R,L,C size (0) | 2009.09.25 |
CRYSTAL의 CL값 결정 (5) | 2009.09.2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안녕하세요?
블로그 잘 보고 있습니다.
한 가지 질문 드릴 것이 있는데요
C1, C2가 Cload이고 Ci1, Ci2가 CPU 내부에 있는 cap 인가요?
네 맞습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포스트를 찬찬히 읽어보니 제가 표현이 미숙했습니다.
C1, C2는 외부의 cap 부품 입니다.
Cload는 crystal 내부의 cap입니다.
맨 마지막의 CL은 Cload로 변경되어야 합니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무의식중에 사용하다보니 혼동했습니다.
블로그는 수정부분을 표시하여 정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그런것이었군요~
정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자주 와서 배우고 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