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2. 13. 13:45
반응형
다루려고 한다.
DC-DC CONVERTER의 원리에 대해 이전의 포스트를 참고, 숙지한 뒤 본 포스트를 이해하는것이 좋겠다.
☞ DC-DC STEP DOWN CONVERTER의 원리
☞ DC-DC STEP UP CONVERTER의 원리
상기의 포스트들에 대한 숙지가 되었으면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포스트를 작성하다보니 내용이 생각보다 길어져서 본 포스트에선 인덕터의 선정에 대해서만 논의
하겠다.
콘덴서의 선정에 대해선 다음 포스트를 참고 하자.
☞ DC-DC CONVERTER에서 L과 C의 값을 선정하는 방법 - ②
본 포스트의 내용은 약간의 공식들과 계산식이 포함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제가 이해하고 쓴 내용이니 절대로 어려운 내용이 아니다.
어려워 하지 말고 차근히 포스트를 읽어보면 누구나 이해 할 수 있다.
계산식들은 '아... 그런가보다' 하고 넘어가고 필요할 때가 오면 그 때 가서 공식에 대입해 보고
계산해 보면 되겠다.
먼저 아래의 회로를 훑어보자.
위 회로의 설계자는 L1을 왜 10uH로 했고 C2를 왜 10uF으로 선정하였는가?... 이에 대한 답을 찾아보자.
1. L값의 선정
인덕터 값을 선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 부하가 최대일 때
-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 전류 리플의 범위
이것이 L값의 선정 기준이 되는 것이다.
2. L값을 구하는 공식
전류 리플의 변화값은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IL :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전류 리플
L : 우리가 구하려는 인덕터의 인덕턴스
fSW : DC-DC의 switching 주파수
D : Vout/Vin
3. L값을 구하는 실제 계산
인덕터에서 발생하는 전류 리플의 허용을 40%로 제한하자.
DC-DC의 최대 출력이 3A이므로 △IL은 1.2A (3A의 40%값), fSW는 340KHz, Vout은 3.3V, Vin은
12V라고 하면
위의 식은
1.2A = 8.7V * 0.275V / L * 340KHz 로 나타나며 L은 5.8uH가 된다.
이 결과의 의미는 인덕터를 최소 5.8uH짜리를 써야 인덕터에 걸리는 전류의 리플 성분이 1.2A를
벗어나지 않음을 의미 한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인덕터에 걸리는 전류를 고려해야 한다.
허용 전류가 낮은 인덕터를 사용한다면 인덕터가 파손되거나 엄청난 열이 발생할 것이다.
해당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3.6A짜리 인덕터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쉽게 말하자면 3A짜리 DC-DC를 선정했고 전류 리플 마진을 40%로 했으니까 인덕터의 전류 특성이
3A + 1.2A/2는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왜 1.2A를 2로 나누었을까?
1.2A는 전류 ripple의 peak to peak 값이므로 3A를 기준으로 ±0.6A이기 때문이다.
즉, 3A + 최대 3A의 40% ripple -> 3A ±0.6A -> 최대 3.6A
4. 결론
위에서 설명된 내용대로 L1은 5.6uH/3.6A짜리를 사용해야 하며 범용 부품의 사용, 마진등을 고려하여
10uH/4A짜리가 사용된 것이다.
인덕턴스가 커지면 인덕터는 비싸지고 사이즈도 커진다.
그렇다면 인덕턴스 값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fsw가 커져야 한다. 즉 DC-DC의 switching 주파수가 높은 제품을 선정해야 하는 것이다.
반응형
'_[HARDWARE] > P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DC CONVERTER에서 L과 C의 값을 선정하는 방법 - ② (4) | 2012.02.16 |
---|---|
DC-DC CONVERTER에서 L과 C의 값을 선정하는 방법 - ① (4) | 2012.02.13 |
DC-DC STEP UP CONVERTER의 원리 (2) | 2011.01.17 |
DC-DC STEP DOWN CONVERTER의 원리 (33) | 2011.01.13 |
전원표기 관련 심볼 정리 (0) | 2010.05.04 |
댓글을 달아 주세요
많이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전류 리플은 커도 상관없나요?
보통 설계할때 몇퍼센트정도의 리플을 생각하고 설계를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보통 전류 리플의 범위에 대한 기준은 없습니다.
다만 전류가 많이 drop되면 전압 또한 변동이 많겠죠.
이 때 전압의 변동 범위를 5% ~ 10% 혹은 core쪽에선 1%로 잡긴 합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LC값을 때려맞추느라 엄청 힘들었는데, 덕분에 많이 배워갑니다.
포스트에서 언급한 파라미터들을 하나 하나 따라가기가 쉽지 않으셨을 것인데... 노력에 박수를 드립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