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리들을 위한 하드웨어 기술공유'에 해당되는 글 87건

  1. 2011.01.07 IEEE 802 STANDARD
  2. 2011.01.07 TCP 헤더의 구조
  3. 2011.01.06 DDR3 SDRAM의 동작원리 - RESET, 8bit PREFETCH 1
2011. 1. 7. 10:57

IEEE 802 standard들의 종류를 살펴보고 해당 standard가 어떤 기술들인지 간단하게 알아본다.


- IEEE 802.1
   802.1D-2004 : MAC Bridges
   802.1H-1995 : Ethernet MAC Bridging.
   802.1Q-2005 : VLAN Bridges.

- IEEE 802.2
   LLC에 관한 표준

- IEEE 802.3
   10BASE-T는 IEEE 802.3i에 의해 비준되었다.
   100BASE-T는 IEEE 802.3u에 의해 비준되었다.
   1000BASE-T는 IEEE 802.3ab에 의해 비준되었다.
   1000BASE-X는 IEEE 802.3z에 의해 비준되었다.

- IEEE 802.4
   TOKEN BUS에 관한 표준

- IEEE 802.5
   TOKEN RING에 관한 표준

- IEEE 802.6
   ANSI에 의해 비준된 MAN기술.
   FDDI와 마찬가지로 비싸고 현재의 LAN과 호환성의 문제로 사장되는 기술.

- IEEE 802.9
   Category 3 twisted-pair cable을 이용하여 data와 voice를 전송하는 기술.
   10Mbps의 ethernet과 96Kbps의 ISDN B채널을 묶어서 구현하며 isoEthernet이라 불리기도 함.

- IEEE 802.11
   Wireless LAN에 관한 표준
   IEEE 802.11a
   
 (Radio band : 5GHz, Data rate : 54Mbps, Radio : OFDM, Modulation : BPSK/QPSK/QAM)
   IEEE 802.11b
   
 (Radio band : 2.4GHz, Data rate : 11Mbps, Radio : DSSS, CCK)
   IEEE 802.11g
    
(Radio band : 2.4GHz, Data rate : 54Mbps, Radio : DSSS, OFDM/CCK Modulation : BPSK, QPSK)
   IEEE 802.11n
    
(Radio band : 2.4GHz/5GHz, Data rate : 540Mbps, Radio : OFDM, Modulation : BPSK/QPSK/QAM)

- IEEE 802.12
   100BaseVG-AnyLAN
   VG : Voice Grade
   AnyLAN : 어떤 형태의 LAN과도 연결 됨

- IEEE 802.14
   Cable television broadband communication

- IEEE 802.15
   Wireless PAN에 관한 표준
   IEEE 802.15.4-2003 은 ZigBee에 의한 표준이다.
     (Radio band : 868MHz/915MHz, Data rate : 20/40Kbps, Radio : DSSS, Modulation : BPSK)
     (Radio band : 2.4GHz, Data rate : 250Kbps, Radio : DSSS, Modulation : OQPSK)
   IEEE 802.15.1-2002 는 Bluetooth v1.1에 의한 표준이다.
   IEEE 802.15.1-2005 는 Bluetooth v1.2에 의한 표준이다.
     (Radio band : 2.4GHz, Data rate : 1Mbps, Radio : FHSS, Modulation : GFSK)

- IEEE 802.16
   Wireless MAN에 관한 표준
   IEEE 802.16 은 WiMAX Release1에 의한 표준이다.
     (Radio band : 10~66GHz)
   IEEE 802.16-2004 (802.16d)는 Fixed WiMAX에 의한 표준이다.
     (Radio band : 10~66GHz/2~11GHz, Radio : OFDM)
   IEEE 802.16e-2005 (802.16e)는 Mobile WiMAX(WiBro)에 의한 표준이다.
     (Radio band : 10~66GHz/2~11GHz, Radio : SOFDMA, Modulation : BPSK/QAM)
   IEEE 802.16m 은 WiMAX Release2에 의한 표준이다.

[참고]
IEEE 802.11 and 802.15 Review at Presented at Spread-Spectrum Workshop
- Steve Shellhammer, Symbol Technologies, Inc -


'[정보통신] > 근거리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NET PROTOCOL의 종류  (0) 2011.10.31
LAN과 WAN의 종류  (0) 2011.01.07
TCP 헤더의 구조  (0) 2011.01.07
IP 패킷의 헤더 구조  (0) 2011.01.06
Posted by nooriry
2011. 1. 7. 00:48

TCP/IP계층의 구조에 있어서 제3계층인 전송계층의 헤더 구조를 살펴본다.

전송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TCP, UDP등이 있으며 통신에서 라우팅을 담당하고 있다.

회선 접속/절단, 링크의 확립/해제를 수행하며 응용계층에서 내려온 데이터를 세그먼트라는 단위로
나눈다.

세그먼트 단위로 나뉜 데이터의 앞부분엔 헤더가 붙게 되며 이 헤더의 구조를 살펴봐서
전송계층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겠다.


- SOURCE PORT
   데이터가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번호. 20 or 21(FTP), 23(TELNET), 80(HTTP)
- SEQUENCE NUMBER / ACKNOWLEDGE NUMBER
   3way hand shaking을 하는 TCP에서 메세지에 붙이는 번호.
   ①Source가 sequence number 'A', acknowledge number '0'을 보낸다.
   ②Destination이 sequence number 'A+1', acknowledge number 'B'를 회신한다.
   ③Source가 sequence number 'A+1', acknowledge number 'B+1'을 보내고 종료한다.
- HLEN
   OPTIONS가 필수 항목이 아니기 때문에 헤더의 전체길이는 가변적이므로 그 길이를 명시.
- CODE BITS
   세그먼트의 용도.
   URG(긴급한 세그먼트임을 나타냄), ACK, RST(연결 재 설정), FIN
- WINDOW
   세그먼트를 window안에 표시된 크기만큼 전송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다음번 전송은
   2배의 window크기로 보내고 그래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또 2배로 키워서 전송한다.
   계속 size를 배가 시키면서 전송을 하여 전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 URGENT POINTER
   DATA에 우선순위의 데이터가 있다면 해당 위치를 명시.

'[정보통신] > 근거리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과 WAN의 종류  (0) 2011.01.07
IEEE 802 STANDARD  (0) 2011.01.07
IP 패킷의 헤더 구조  (0) 2011.01.06
ICMP란?  (0) 2009.10.14
Posted by nooriry
2011. 1. 6. 15:51

이제 DDR2의 시대는 무르익다 못해 완숙했으며 바야흐로 DDR3의 시대가 도래했다.
기존의 DDR1, DDR2와 비교하여 DDR3에 새로이 적용되는 기술을 살펴보고 정확히 이해하여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어야겠다.

1. DDR3 SDRAM에 적용된 새로운 기능
   가. ZQ CALIBRATION
   나. DYNAMIC ODT
   다. RESET, 8bit PREFETCH

상기의 function들에 대하여 하나씩 검토하기로 한다.

☞ DDR3 SDRAM의 동작원리 - ZQ CALIBRATION
☞ DDR3 SDRAM의 동작원리 - DYNAMIC ODT

혹시 DDR1, DDR2 SDRAM에 대해서 학습이 필요하신 분은 본 블로그의 다른 포스트들을 먼저
숙지하시고 이 포스트를 접하셨으면 한다.

2. RESET
   DDR3 SDRAM에선 device에 external reset이 추가되었다.
   [RESET의 역할]
   - Power-up동안 device의 pin들을 high-Z상태로 만들고 ODT를 disable한다.
   - Device내부의 state machine을 reset하여 start-up하면서 발생할 수있는 에러를 방지한다.
   - Reset이 low에 있는 동안 DRAM내부 회로가 initialize된다.

   [RESET의 특징]
   - Device의 initialize에도 사용되지만 warm boot에도 사용할 수 있다.
   - DRAM에 저장되어 있던 data들과 mode register값들이 초기화 된다.
   - Reset sequence전에 power supply는 stable되어야 한다.
   - Power-up할 때 reset sequence에서 요구되는 period는 최소 200us.
   - Warm reset sequence에서 요구되는 period는 최소 100ns.

   [이전의 DDR SDRAM들과의 차이점]
   - DDR3 이전의 DRAM들은 Initialization이 PRECHARGE나 AUTO REFRESH같은 command가
      발생했을 때 이루어짐.

3. 8bit PREFETCH
   DDR3 SDRAM은 8bit prefetch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동일한 동작 주파수라는 가정하에 DDR2보다
   2배 빠른 속도로 동작한다. (DDR2 SDRAM은 4bit prefetch의 구조이다.)

   다음의 그림에서 보면 DDR3 SDRAM의 memory core에서 I/O buffer쪽으로 8bit씩 데이터가 전달됨을
   알 수 있다. 화살표의 방향은 read sequence를 나타낸다.
   반대로 DRAM에 write할 때는 역 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 그림을 보면 DDR3 DRAM이 다른 device들에 비해 얼마나 빠르게 동작하는지 알 수 있다.

[참고]
New Features of DDR3 SDRAM
- ELPIDA -

DDR3 Power-Up, Initialization, and Reset
- MICRON -

Posted by noori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