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에 해당되는 글 31건

  1. 2009.10.10 OSI의 계층 구조와 각각의 기능
  2. 2009.09.26 WiMAX 기술
  3. 2009.09.26 PSDN와 X.25, 프레임릴레이의 관계
2009. 10. 10. 14:40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구조의 목적은 상이한 시스템의 원활한 상호연결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기 위한 공통적인 기법을 제시하여
, 현존하는 여러 프로토콜들이 OSI 구조 내에서 운용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컴퓨터 네트워크의 논리구조를 규정하는 것으로 모뎀화 구성요소는 개방형 시스템, 물리매체,
응용프로세서이며 7계층 구조를 가진다.

1~3계층까지를 하위계층이라 하고 4~7계층까지는 상위계층이라고 한다.

각 계층에 대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Application Layer]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갖는 계층이다. http, FTP .
사용자가 'DATA'를 보내면 PCI라는 곳에다 사용된/될 응용프로그램의 종류를 표시한다.
아래에서 주황색 부분이 PCI부분이다.


[Presentation Layer]
Application
의 다양한 표현형식을 공통의 표현형식으로 변환한다.
압축, 암호화, 코드 변환등을 수행한다.
압축으로 사용된 방식등의 PCI를 덧붙인다.


[Session Layer]
동기제공, 전송방식(전이중,반이중 등) 결정한다.
Presentation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동기 bit들을 삽입하고 어디 어디에 삽입하였는지 표시한다.

DATA중간 중간의 세로줄이 동기bit들을 나타내며 맨 앞의 연두색으로 표시된 PCI에 동기bit들의 위치 데이터가 들어간다.

[Transport Layer]
Session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하며 이 때 분할된 크기의 단위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
세그먼트에 번호를 붙여서 순서를 정한다.
TCP, UDP
등이 이 계층에 속한다.


[Network Layer]

세그먼트 단위로 받아서 최종 받는곳의 주소를 덧붙인다.
이를 경로 설정이라 하며 주소가 붙은 단위를
packet이라 한다.


[Data Link Layer]
바로 다음단인 인접장치의 주소(MAC)을 붙인다. 일반적으로 랜카드(NIC)에 해당하는 계층이며 MAC을 붙인 이 계층에서의 단위를 frame이라고 한다.
맨 앞에 인접장치까지의 주소가, 맨 뒤엔 에러제어코드등이 붙는다.


[Physical Layer]
데이터의 최소단위인 bit를 전송매체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디지털 신호이므로 기저대역 전송이며 대역폭을 줄이기 위하여 모뎀을 통한 반송대역 전송을 하게된다.

'[정보통신] > 통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선교환, 메시지교환, 패킷교환  (0) 2009.09.26
PSK와 QAM에 대한 설명  (0) 2009.09.26
ASK와 FSK의 특징에 대한 설명  (0) 2009.09.26
PCM의 종류  (0) 2009.09.26
Posted by nooriry
2009. 9. 26. 23:48

1. 개요
   옥외용 무선 광대역 기술은 IEEE 802 계열을 중심으로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WiMAX 802.11 기술 표준과 인증을 담당한 WI-FI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서비스 개발을 이루어 낸
   사례를 벤치마킹 하여
802.16 기술 표준의
개발과 활성화를 위해 구성된 비영리 단체의 이름으로 시작
   되었다
.
   802.16 계열은 802.11 계열에 비해 넓은 커버리지를 바탕으로하며 궁극적으로 이동성을 지향하는
  
WiMAX 기술이다.

2.
옥외용 무선 기술의 비교
   ▶무선 기술별 커버리지


   ▶무선 기술별 특징
   - 802.11 b/g : Wi-Fi 혹은 무선랜이라 불림, 이동성 없음, 통신 반경은 30~200m 정도
   - 802.16 : WiMAX, 한 기지국 내에선 이동성을 지원하나 핸드오버는 지원 않음, 통신반경은 10km 이상
   - 802.20 : 광대역성보다 이동성에 주안점을 둔 기술

3.
 WiMAX의 특징
   802.16-2004
   Fixed WiMAX라고도 불림.
   WiMAX 포럼에서 WiMAX의 기반 기술로 선정함.


   802.16e
   Mobile WiMAX라고 불림.
   802.16-2004 버전에 비해 이동성이 대폭 개선된 버전.


   ▶주요 WiMAX 주파수


   WiMAX 802.20 계열과 경쟁, 융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하나의 칩으로 WiMAX, Wi-Fi, 블루투스
   모바일 무선 기술을 융합시키는 방향으로
기술이 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WiBro 802.16-2004와 공중 인터페이스 부분이 호환되는 기술로서 WiMAX에서 802.16
  
계열로
 분류 하였으므로 DSL과 같은 유선망에 비해 WiMAX의 비용절감을 통하여 수익창출을 위한
   보다 발빠른
움직임이 요구된다.

[
참고]
정보통신정책 제18 2호 통권 386
'WiMAX 서비스 현황 및 전망'

- 주임연구원 윤두영 -

'[정보통신] > 근거리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패킷의 헤더 구조  (0) 2011.01.06
ICMP란?  (0) 2009.10.14
VoIP :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의 개념  (0) 2009.09.26
IGMP snooping 이란 무엇인가?  (0) 2009.09.26
Posted by nooriry
2009. 9. 26. 23:44

1. PSDN (Packet Switched Data Network)
- PSTN
은 약간의 데이터 오류가 허용되지만 지연이 억제되어야 하는 음성 서비스를 목표로 설계된
   네트워크이다
.
- PSDN
은 데이터의 오류 발생을 최소로 하여야 하는 통신서비스를 목표로
설계된 네트워크이다.
   (ex.
은행의 예금 데이터
)

- PSTN
에서는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방식을 사용

- PSDN
에서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방식을 사용

    . 패킷 교환방식
        - 패킷 : 일정한 크기로 분할된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블록
        - 각 노드는 수신된 패킷을 저장하였다가 적절한 링크를 통해 전송하는 축적전송
          
(Store and Forward)
           방식을 사용

        - 패킷에 포함된 제어 정보에는 통신 경로를 찾아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최소한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 가상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

        ① 가상 회선 방식 (Virtual Circuit)
            - 가상회선이란 회선 교환에서와 같은 독점적인 통신 경로는 아니지만 패킷 전송을 위해서
               설정된 논리적 경로이다
.
            - 연결형 (Connection oriented) 서비스 방식
            -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송/수신측 사이의 경로를 설정하고, 그 경로를 통해서 패킷을 전송
            - 통신 과정 : 회선 교환과 동일하게 통신 경로 설정, 데이터 전송, 통신 경로 해제의 3단계 과정
            - 모든 패킷은 동일한 경로를 통해서 전송
            - 고정된 통신 경로를 사용하지만 패킷 단위로 전송하기 때문에 노드 지연 시간이 발생하여
              
회선교환보다 빠를 수 없음
            - X.25에서 사용

        ② 데이터그램 방식
            - 데이터그램이란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하는 패킷을 의미한다.
            - 비연결형 (Connectionless) 서비스 방식
            - 패킷을 전송하기 전에 미리 경로를 설정할 필요가 없이 수신지로 가기 위한 경로를 독립적으로
               설정한다
.
            - 각 패킷이 독립적으로 설정된 경로를 통해서 전송하기 때문에 모든 패킷의 헤더에는 완전한
               목적지 주소가 필요하다
.
            - 몇 개의 패킷으로 구성된 짧은 데이터 전송에 적합
            - 네트워크 혼잡에 따라 적절한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좋다.
            - 어떤 노드에 이상이 발생해도 우회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2. X.25

- PSDN
에서 패킷 방식으로 단말기를 운용하기 위하여 이용자 단말기인
DTE (Data Terminal Equipment)
   패킷 교환망에 연결하는 장치인
DCE (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SDN
망 내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관여하지 않고 DTE DCE간의
   상호 접속에 대해서만 규정한다
.
-
비공식적으로 WAN에서 사용되는 패킷 교환 프로토콜이다
.

3.
 프레임릴레이
- LAN
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WAN이 필요한데 전용선은 성능이 뛰어난 반면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X.25는 가격이 저렴한 반면 수 Mbps 급인 LAN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이다.
- X.25
는 기존 전화망의 단점인 전송 선로의 품질이 취약하다는 가정하에
개발되었기 때문에 단말기들이
   데이터를 송수신 할 때 데이터의 오류를
일일이 체크, 수정하도록 설계되었다.
-
반면에 프레임릴레이는 X.25의 복잡한 기능 중 불필요해진 부분을
수정하여 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가능하도록 고안 한 것이다
.
-
 오류 검출 후 X.25와 달리 수정하지 않고 오류가 난 프레임을 버리고 상대방에게 재송신을 요구한다.
-
지정된 경로로만을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구 가상 회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데이터가 폭주할 경우
   성능이 급격히 떨어진다
.
-
데이터와 음성, 팩스를 동시에 지원하며
 전송 속도는 최대 45Mbps까지 가능하다.

[
출처
]
http://www.comedu.pe.kr 

'[정보통신] > 데이타 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DOCSIS  (0) 2013.04.24
Posted by noori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