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RDWARE]'에 해당되는 글 46건
- 2010.05.04 전원표기 관련 심볼 정리
- 2010.01.05 CBU나 CKD 혹은 SKD란 무었인가?
- 2009.10.31 회로 설계 후 PCB생산할 때 최대 수율이 되도록 하는 PCB size 계산법
2010. 5. 4. 17:19
전원을 표기하는 심볼들을 정리한다.
이 심볼들은 IEC 60417에 정의되어 있다.
|
|
|
Protective Earth (Ground) | Earth (Ground) | Noiseless (Clean) Earth (Ground) |
|
|
|
On - Off (push - push) | Stand-by | OFF (Power) |
|
|
|
ON (Power) | Frame or Chassis | Direct Current |
|
|
|
Alternate Current | Both Direct and AC | Type BF Equipment |
'[HARDWARE] > P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C-DC CONVERTER에서 L과 C의 값을 선정하는 방법 - ② (5) | 2012.02.16 |
---|---|
DC-DC CONVERTER에서 L과 C의 값을 선정하는 방법 - ① (7) | 2012.02.13 |
DC-DC STEP UP CONVERTER의 원리 (2) | 2011.01.17 |
DC-DC STEP DOWN CONVERTER의 원리 (33) | 2011.01.13 |
2010. 1. 5. 19:06
[CBU]
- Completely Build-up Unit의 이니셜
- 기술을 사용하는 계약제품을 조립, 완성하였을 경우의 완제품을 지칭함.
다음에서 설명하게 될 CKD에 조립, 완성의 공수(및 비용)을 더하면 된다.
- CBU라는 용어는 기술제휴 또는 라이센스 계약에서 부품등의 공급 및 가격조정에 관한 사항이나
기술료의 산출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용어임.
[CKD]
- Completely Knock Down의 이니셜
- 계약제품을 완전히 해체하였을 경우의 모든 구성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의미함, 이러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 중에서 기술의 이전대상에서 제외되었거나 이전대상 기술이 소화 흡수되기 이전까지의
일부부품 등은 기술제공자에게서 구매(수입)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SKD]
- Semi Knock Down의 이니셜
- 계약제품을 완전히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 기능부분별로 해체하는 것을 의미함, 기술이전과 함께
주요 핵심부품에 대한 비즈니스를 하고자 할 경우 또는 기술이전방식에 의하여 현지 조립생산을
하고자 할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임,
- 일반적으로 SKD, KD 등의 부품 형태로 수출, 수입될 경우는 완제품에 대한 경우보다 현지국의
관세가 낮거나 관세감면 등의 혜택을 주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기술과 핵심부품의 동시거래는
국제간 기술이전의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
[KD]
- Knock Down의 이니셜
- CKD중에서 기술이전 대상에서 제외되었거나 기술이전이 완료되지 않아 또는 품질이 불안정하여
기술제공자로부터 계속하여 수입하게 되는 일부 핵심부품 또는 요소를 말함.
- KD, CKD등을 이용한 기술료 산출공식의 예
Running Royalty = (CKD-KD)*기술료대상 수량*rate(%)
[참고]
http://ask.nate.com/qna/view.html?n=3465332
- NATE 지식 Q&A의 qorrksha님의 답변 -
- Completely Build-up Unit의 이니셜
- 기술을 사용하는 계약제품을 조립, 완성하였을 경우의 완제품을 지칭함.
다음에서 설명하게 될 CKD에 조립, 완성의 공수(및 비용)을 더하면 된다.
- CBU라는 용어는 기술제휴 또는 라이센스 계약에서 부품등의 공급 및 가격조정에 관한 사항이나
기술료의 산출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용어임.
[CKD]
- Completely Knock Down의 이니셜
- 계약제품을 완전히 해체하였을 경우의 모든 구성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의미함, 이러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 중에서 기술의 이전대상에서 제외되었거나 이전대상 기술이 소화 흡수되기 이전까지의
일부부품 등은 기술제공자에게서 구매(수입)하는 경우가 일반적임
[SKD]
- Semi Knock Down의 이니셜
- 계약제품을 완전히 분해하는 것이 아니라 주요 기능부분별로 해체하는 것을 의미함, 기술이전과 함께
주요 핵심부품에 대한 비즈니스를 하고자 할 경우 또는 기술이전방식에 의하여 현지 조립생산을
하고자 할 경우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임,
- 일반적으로 SKD, KD 등의 부품 형태로 수출, 수입될 경우는 완제품에 대한 경우보다 현지국의
관세가 낮거나 관세감면 등의 혜택을 주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기술과 핵심부품의 동시거래는
국제간 기술이전의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
[KD]
- Knock Down의 이니셜
- CKD중에서 기술이전 대상에서 제외되었거나 기술이전이 완료되지 않아 또는 품질이 불안정하여
기술제공자로부터 계속하여 수입하게 되는 일부 핵심부품 또는 요소를 말함.
- KD, CKD등을 이용한 기술료 산출공식의 예
Running Royalty = (CKD-KD)*기술료대상 수량*rate(%)
[참고]
http://ask.nate.com/qna/view.html?n=3465332
- NATE 지식 Q&A의 qorrksha님의 답변 -
'[HARDWAR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UTOCU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CB 수율을 계산하는 방법 (6) | 2011.07.15 |
---|---|
VM700T의 화면을 PDF 파일로 출력하기 (0) | 2011.07.10 |
회로 설계 후 PCB생산할 때 최대 수율이 되도록 하는 PCB size 계산법 (0) | 2009.10.31 |
INTERRUPT를 이용한 NEC 리모콘 수신제어 (0) | 2009.09.26 |
2009. 10. 31. 23:08
PCB 경제사이즈는 무엇이고 어떻게 계산 하는가?
회로 설계를 마치고 PCB를 생산하게 되는데 이 때 PCB의 원판은 PCB업체마다 사용하는 원판의
종류가 달라서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해당 업체로 부터 원판 사이즈 정보를 얻어야 한다.
그 크기 안에서 내 제품의 PCB가 몇 장이나 생산되는지... 이왕이면 PCB원판에서 버리는 부분이
없도록 한다면 최적의 생산가격으로 PCB를 생산하게되는 것이다.
내가 했던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예시를 들어가며 어떻게 경제적인 PCB 사이즈를 결정하는지
업무 flow를 확인 해 보자.
1. 원판에서 PCB공정용 size를 계산
1020x1220mm의 원판에서 실제로 PCB공정 작업자가 작업하게되는 크기로 자르게 되는데 이 때
가로로 2등분 내지 3등분을 하고 세로로 2등분내지 3등분, 4등분을 하게 된다.
아래 그림은 가로로 2등분 세로로 3등분을 하는 그림이다. (우측의 4등분은 예시로 그린 그림)
2. PCB공정용 사이즈에서 작업용 가이드 치수만큼 제거
원판을 6등분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510x406mm의 작업용 PCB size가 결정 되었고 그 다음엔
작업용 가이드인 가장자리 부분을 10~15mm씩 감안한다.
(10~15mm는 PCB 제조 업체마다 다른 치수이므로 해당 정보도 PCB업체에서 얻어야 한다.)
3. 실제 제품 PCB의 크기 결정
아래와 같이 실제 제품이 놓이게되는 484x383mm의 PCB가 계산되어지면 이 영역을 몇 등분하여
사용할지 고려하게 된다.
본인은 아래 영역당 8개의 PCB가 생산되도록 size를 잡았다.
4. 경제 사이즈 PCB
120x190mm 의 제품을 설계해서 원판엔 8x6장의 제품이 생산되도록 하면 수율을 90%이상으로
할 수 있고 원판에서 버리는 PCB가 없기 때문에 최적의 가격으로 납품받을 수 있게 된다.
제품을 설계할 때 언제나 상기와 같은 사이즈의 제품을 만들순 없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율이 80%이상은 되도록 해야하며 그래야 같은기능, 낮은가격의 제품을
만들 수 있게된다.
AUTOCUT이란 프로그램으로 위의 내용을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다.
PCB업체에 메일쓰고 기다리고 하지 말고 먼저 계산하는 적극적인 엔지니어가 되자.
☞ AUTOCU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CB 수율을 계산하는 방법
'[HARDWAR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700T의 화면을 PDF 파일로 출력하기 (0) | 2011.07.10 |
---|---|
CBU나 CKD 혹은 SKD란 무었인가? (0) | 2010.01.05 |
INTERRUPT를 이용한 NEC 리모콘 수신제어 (0) | 2009.09.26 |
도선의 규격 AWG (0) | 2009.09.26 |